
HOME > 소아청소년 클리닉 > 평발/휜다리

평발이란?
유연성 평발은 부모님들께 발견하기가 힘든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앉아있거나 누워있으면 평말이 아닌데 서있을 때(즉 체중을 실을 때) 평발로 변하는 발이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이렇게 발이 평발로 변한다는 것은 발목의 관절의 높이가 변하면서 무릎, 골반의 높이에 차이를 일으키게 되고 결국 척추가 휘는 원인이 됩니다.
평발 확인 방법
서있을때 아이의 발이 평발로 변하지 않는지 확인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바닥에 아이를 세워놓고 발 안쪽에 족궁이 제대로 형성되어 있는지 손가락을 넣어보시면 알 수가 있습니다.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는다면 평발로 보셔도 괜찮습니다.
휜다리란?
휜다리는 하지 장골의 정상 각을 벗어난 모양의 변형 즉 '각 변형'을 말합니다. 주로 무릎 근처에서의 변형이 생기는데, '0'자형, 'X'자형 변형이 일어납니다. 각 변형은 나이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 기준을 정할 수는 없으나, 대개 나이에 따른 증상적인 평균 기준을 가정하여 3% 이하이거나 97%를 벗어나면 비정상이라고 봅니다.
휜다리 치료 방법
- 보조기 치료
- 소아 휜다리 교정은 2~3세의 어린이가 심한 각변형이 있으면 보조기 등으로 각 변형을 치료합니다. 대부분의 어린 아이들은 이러한 보조기의 착용을 극도로 싫어하기 때문에 보조기의 효과는 아직 논란이 많으나 3세 이후에 각 변형이 심하게 남는 어린 아기는 드뭅니다.
- 수술교정
- 심한 각 변형이 있는 질벙(블라운트씨병 등)에서는 3~5세 정도에서 적극적인 수술 교정을 권하게 되는데 수술은 심한 정도에 따라 가벼운 수술부터 큰 수술까지 다양합니다.
휜다리 교정방법
- 보조기
- 발목관절에서부터 사타구니 아래 정도의 위치까지 정도의 길이로 된 보조기를 착용하는 방법으로 약 50%의 성공률을 보입니다. 보조기 치료법은 대퇴 상부의 안쪽, 무릎관절의 바깥쪽, 발목관절의 안쪽에 압박을 주어 무릎관절의 형태를 외반, 즉 X자 다리의 형태로 잡아주느 역할을 합니다. 뼈 모양을 보조기의 힘으로 변형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근위 경골의 성장판에 체중 부하를 균등하게 해주어 성장판에서 균형 잡힌 길이 성장이 일어나게 하여 변형이 교정되도록 합니다.
- 장하지 보조기 : 유아기에 사용
- 초기의 유아기 경골 내반증에서 장하지 보조기가 사용됩니다. 보통 14~30개월 유아기 경골 내반증 환야에서 적용이 되며 하루 23시간, 즉 씨는 시간과 옷 갈아 입는 시간을 제외하고 항상 착용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이 나이는 정상 발달 과정상 내반슬(O다리)이 정상인 나이로 병적인 것인지 정상인지 구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슬관절 각변형에서는 신발 교정은 효과가 없고 생리적 내반슬 및 구루병에서는 치료 효과가 불확실하고 행동을 제약하여 뼈의 강도를 약화시키거나 발육에 지장을 줄 수도 있으므로 불필요한 치료는 삼가는 편이 좋습니다.
- 절골술을 이용한 교정
- 뼈를 절단하여 재배열하는 교정법입니다. 단 한번의 수술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교정각이 적고 혈관이나 신경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일리자로프 / 헥사포드를 이용한 점진적 교정
- 복잡한 변형이 있거나 변형각이 커서 급성 교정 시 혈관이나 신경 손상의 가능성이 높을 경우 사용합니다. 수술이 복잡하고 외고정기를 장기간 착용해야 하며, 핀(pin)을 통한 감염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골단판(성장판) 억제를 통한 각변형의 교정
- 성장이 끝난 성인은 사용하기 어렵고 아직 성장이 남은 소아나 청소년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내측이 외측보다 더 자라게 하여 각변형을 교정하는 원리입니다.
- 장점
- 하지의 길이가 다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쪽 다리의 길이가 2cm 짧다면 긴 쪽의 성장판을 억제하여 못 자라게 하고 짧은 다리는 그냥 두면 짧은 쪽의 다리만 자라게 되어 시간이 지나면 다리 길이가 같아지리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수술의 규모가 매우 작은 대신 교정이 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