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소아청소년 클리닉 > 척추측만증
뒤에서 보았을 때 척추가 어느 한 방향으로 휘어 한쪽은 볼록하게 튀어나오고 반대쪽은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기형을 말하는 것이 척추측만증 이지만, 단순하게 옆으로만 휜 것이 아니라 척추체 자체의 회전 변형이 동반되어 정상적인 척추만곡 상태가 아닌 3차원적인 기형 상태를 말합니다.
척추 측만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소아마비와 같은 신경이나 근육의 질환, 선천성 기형, 신경 섬유종, 종양, 척추 감염 등을 비롯한 수십 가지 질환이 있지만, 대부분 80~90%에서 그 원인을 알 수 없으며, 이러한 경우를 특발성 척추측만증이라 부릅니다. 특발성 척추측만증은 대부분 청소년기에 발견되며 이를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측만증이라고 부르며, 조기 발견하여 예방적 조치 및 치료가 필요합니다.
척추측만증의 진단은 단순 방사선 검사가 가장 중요합니다. 단순촬영 후 보조기 착용이나 수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측만의 유연성을 알기 위하여 환자의 몸을 좌우로 굽혀 측 굴곡 전후방 사진을 찍게 됩니다.
치료방법으로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로는 운동 치료, 도수 치료 혹은 척추보조기 치료를 시행합니다. 수술적 치료는 척추유압술을 시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