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디스크는 경추(목뼈)사이에 디스크가 튀어나와 신경을 누르는 것으로 퇴행성에 의해 뼈에 끝부분이 가시같이 자라나 신경을 누를 수도 있습니다. 잘못된 자세로 인해 디스크(추간판)가 압박을 받아 돌출되어 신경을 압박하는 것을 목 디스크 또는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합니다.
일자목은 정상적인 경추 구조인 C형구조와는 달리, 경추의 충격이나 만성적인 부적절한 자세로 인해 경추 주위 근육의 경직 등으로 일자형태로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이러한 일자 형태에서 상추경부가 앞쪽으로 튀어나와 목이 앞으로 빠진 경우를 거북목 증후근이라고 부릅니다.
경추(목뼈)의 척추관 협착증을 일커든 말로 척추관은 척추 가운데 동그란 모양의 관으로 뇌에서 팔, 몸통, 다리로 가는 신경다발인 척수가 지나가는 길인데 이러한 척추관이 좁져서 팔이나 다리로 가는 신경을 압박함으로써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경추 경추 척추관 협착증이라고 합니다.
경추 후관절 증후군은 허리근육이 약한 여성들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허리를 갑자기 삐끗하거나 잘못된 자세가 주 원인입니다. 증상도 허리디스크와 비슷해서 간과하기 쉽습니다. 허리를 굽히는 것 보다 뒤로 젖힐 때, 그리고 허리를 비틀때도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허리는 비트는 반대편에서 통증을 느낄 때에는 후관절 증후군보다는 반대편 근육의 문제입니다.
척추의 정렬 및 안정화, 그리고 운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존재하는 종인대 중 척추의 전방에서 지지하는 것이 전종인대이며, 척추체의 뒤쪽과 척추관의 앞쪽에서 지지하는 것이 후종인대 입니다. 이 후종인대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뼈처럼 단단하게 굳어지는 골화를 일으켜 척추관을 지나는 신경을 압박함으로써 신경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을 후종인데 골화증이라고 합니다.
근막동통증후군은 어깨나 목의 통증을 주로 유발하며, 환자들은 목이 뻐근하거나 뒤통수가 당긴다는 느낌을 받는다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막동통증후군은 경부(목) 통증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며, 활동성 유발점에 의해 통증이나 자율신경 증상이 나타납니다.
두통은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로 두부 및 안면부의 통증으로 정의합니다. 일반적으로 두통은 갑자기 발생하는 급성 두통과 수년 동안 별 변화 없이 반복되는 만성두통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대개의 급성 두통의 경우는 특별한 치료 없이도 자연 치유되거나 진통제를 2~3회 복용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증상이 호전되기도 하지만 만성두통은 지속되는 환자의 경우에는 목 부위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정밀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편두통은 머리의 한쪽에서 나타나는 두통을 말합니다. 구역이나 구토 및 빛이나 소리 공포증이 나타나는 특징적인 두통을 말합니다. 편두통은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병률에 많은 차이를 보이며 주로 젋은 성인 여성이 3배 가량 많이 발생합니다.
군발두통은 결막충혈, 눈물, 코막힘, 콧물, 땀 등의 자율신경증상을 동반하는 두통으로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신경증상을 동반하는 두통으로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으로 다른 두통에 비해 남성이 전체 환장의 90%정도를 차지합니다. 남성의 경우 발병률은 20대 후반에 가장 높습니다.